본문 바로가기
부동산/부동산정보

전국 미분양아파트, 아파트거래량 현황

by Balo benz 2024. 1. 4.

지난주 국토부에서 전국 주택건설실적을 발표했습니다. 부동산 경기가 위축되면서 건설 관련 모든 지표 실적이 좋지 않습니다. 주택은 인허가, 착공, 분양, 준공을 통해서 향후 주택시장의 흐름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한눈에 볼 수 있는 전국 주택건설실적을 확인해보시죠.

 

 

전국 미분양아파트, 아파트거래현황 썸네일
전국 미분양아파트, 아파트거래현황 썸네일

 

1. 인허가

- 11월 전국 주택 인허가는 20,553호로 전월 대비 13.9% 증가하였지만, 23년 11월 누계는 294,471호로 전년동기 대비 36.9% 감소하였습니다.  수도권이 28.3%, 지방이 41.8% 감소했습니다.

 

2. 착공

- 11월 주택 착공은 28,783호로 전월 대비 82.9% 증가하였으나, 23년 11월 착공 누계는 170,378호로 전년동기 대비 52.4% 감소하였습니다. 수도권이 52.8%, 지방이 52.1% 감소했습니다.

 

3. 분양

- 11월 분양은 21,392호로 전월 대비 36% 감소하였으며, 23년 11월 누계 분양은 163,509호로 전년동기 대비 37.3% 감소하였습니다. 수도권이 21.3%, 지방이 50.7% 감소하였습니다.

 

4. 준공

- 11월 준공은 12,015호로 전월 대비 38.5% 감소하였으며, 23년 11월 누계 준공은 282,975로 전년동기 대비 21.6% 감소하였습니다. 수도권이 21%, 지방이 22.4% 감소하였습니다. 

 

부동산 시장 활황이었던 2020 ~ 2021년에는 인허가, 착공, 분양이 많았지만 2022년부터 인허가만 증가했을 뿐 나머지 지표는 감소했습니다.

 

 

전국 미분양아파트, 아파트거래량 현황1
전국 미분양아파트, 아파트거래량 현황1

 

5. 미분양 주택 현황

-  23년 11월 말 기준 전국 미분양 주택은 총 57,925호로 집계되었으며, 전월 대비 0.6% 감소하였습니다. 뉴스에서 미분양 아파트가 크게 증가하고 있고, 큰 문제가 될 수 있다고 많이 보도하고 있습니다. 대구지역은 특히 심각하죠. 1만 호가 넘습니다.

 

소형과 대형보다는 중형주택의 미분양이 압도적으로 많습니다. 소비자들이 선호하는 아파트 평형위주로 건축을 많이 하기 때문인데요.

 

미분양주택의 과거 내역을 보면 2009년에 17만 호 가까운 미분양 주택은 꾸준하게 큰 폭으로 감소하면서 2020년에는 2만 호까지 떨어졌고, 2022년 하반기부터 점차 증가하더니 2023년 초에는 7만 5천 호까지 증가했었습니다.

 

주택경기가 살아날 때는 미분양이 감소하고, 부동산 시장이 침체되면 미분양이 증가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전국 미분양아파트, 아파트거래량 현황2
전국 미분양아파트, 아파트거래량 현황2

 

6. 주택 매매거래량

- 23년 11월 주택 매매거래량은 총 45,415건으로 집계되었습니다. 전월 대비 5% 감소했지만, 전년 동월 대비는 50.3% 증가했습니다. 작년에 거래량이 너무 없었죠.

 

주택 거래량은 2023년 2월부터 증가하기 시작했고, 정부의 대출 규제가 느슨해지면서 거래량이 증가했었습니다. 한편으로는 2020년 같은 부동산 시장이 다시 열릴 것이라는 기대도 있었지만, 몇 달을 못 가고 다시 침체기로 돌아서면서 거래량도 줄기 시작했습니다.

 

 

전국 미분양아파트, 아파트거래량 현황3
전국 미분양아파트, 아파트거래량 현황3

 

현재 부동산 시장은 어두운 시기를 지나고 있기는 한데요. 미국의 물가가 조금씩 잡히고, 금리인하를 기대하는 환경이 조성되면서 국내 금리도 조금씩 내리고 있습니다.

 

집값의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금리가 서서히 내려간다면 주택거래 활성화도 이뤄지지 않을까 조심스럽게 예상해 봅니다. 아래는 최근 이슈가 되고 있는 부동산 관련 포스팅입니다. 관심 있는 분들은 참고해 보세요.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