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동산/부동산정보

시흥대야역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지 선정... 착공 가능할까?

by Balo benz 2023. 12. 23.

국토교통부는 23.12.22 시흥대야역 인근을 도심 공공주택 복합사업 신규 후보지로 선정했다. 2,500세대가 넘는 대단지를 역세권의 우수한 입지에 공급하겠다는 것이다. 이 지역은 역세권으로 주택 수요가 많으나 낮은 사업성으로 재개발 사업 추진이 어려웠던 지역이다.

 

도심복합사업은 노후 도심지역을 공공이 시행해서, 종 변경, 용적률 상향 등 추가 인센티브를 부여하고,  절차를 단축해 아주 빠르게 주택을 공급하는 사업이다. 이 사업은 2년 전에 도입되었으며, 최근 서울 증산 4 구역, 인천 제물포, 부천원미, 부산 부암 등이 계획 승인을 받을 가능성이 커지면서 투자자들의 관심을 끌었다.

도심복합사업은 전체 건물의 60% 이상이 지어진 지 20년이 넘고, 5,000 ㎡가 넘는 역세권이나 준공업지역 혹은 그 면적이 1만 ㎡을 넘는 저층 주거지역이면 가능할 수 있다. 다만, 토지 등 소유자의 2/3, 해당 부지 면적기준 절반의 동의가 있어야 지정이 가능하다. 결코 쉽지 않은 사업이다.

시흥대야역인근 지도
시흥대야역인근 지도

이번에 선정된 대상지는 대야동 506번지 일원으로 서해선 시흥대야역 및 신구로선(예정)과 500m 이내 인접한 역세권이다. 주거사업 고밀지구(준주거지역)로 개발될 계획이다. 국토부는 시흥대야역 인근 역세권에 약 7만5천㎡ 구모에 2,527세대 주택을 공급하겠다고 발표했다.

 

절차를 알아보면

 사전검증위원회의 사전검토, 주민설명회 개최 ▶ 주민협의체 구성 및 주민대표회의 선출 등 예정지구 지정을 위한 절차 이행 ▶ 주민 사업 참여 의향 조사 ( 1년 내 토지 등 소유자 2/3, 면적 1/2 이상 동의 필요) ▶ 도시계획위원회와 토지수용위원회 심의 ▶ 본지구 지정

 

지구가 지정되면 부지를 확보하고, 관리처분절차, 총사업비 및 공급계획 등이 결정되는 복합사업계획 승인 절차를 진행되며, 모두 마무리되면 현물 보상이 이뤄지고 주민 이주가 진행된다. 

그렇다면 이 사업은 언제 진행될 수 있을까? 앞에서 설명한 절차를 다 완료되어야 사업 진행이 가능하기 때문에 보통 최소 몇 년의 시간이 걸린다. 다만, 도심공공주택은 정부가 책임지고 이해관계를 조정해서 사업을 진행하기 때문에 기존 사업보다 10~30% 더 높은 수익을 보장받을 수 있으며, 추가 비용을 부담할 능력이 없는 토지주들에게 분담금 없는 집을 제시해서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하는 등 다양한 인센티브를 마련해서 사업 성공률을 높이고 있다.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