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동행카드 신청 방법 및 케이패스 카드와 비교정리 해서 어떤 카드를 사용하는 게 더 유리한지 알아보겠습니다.
기후동행카드는 서울시에서 사용할 수 있는 대중교통 통합 정기권입니다. 1회 요금 충전으로 30일간 서울지역의 대중교통과 따릉이 자전거를 무제한으로 이용할 수 있습니다.
K-패스는 국토교통부에서 만든카드로 대중교통 15회 이상 이용 시 지출금액의 20 ~53%, 최대 60회까지 환급 가능한 카드입니다. 전국 이용한 카드입니다.
그렇다면 과연 나는 어떤 카드를 사용해야 할까요? 먼저 기후동행카드 사업내용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1. 기후동행카드 주요 내용
1) 사업기간
- 2024년 1월 27일 ~ 6월 30일
2) 이용범위
- 서울지역 지하철, 서울시 면허 시내/마을버스, 따릉이 (심야버스 포함)
- 신분당선, 서울지역 지하철, 광역/공항버스, 타 지역 먼허버스는 이용이 안됩니다.
서울시 면허 버스는 서울지역 외에서 승하차하더라도 사용가능하나, 지하철은 서울지역 내에서 승차 후 다른 지역에서 하차할 경우에는 기후 동행카드 사용이 안됩니다.
3) 카드가격
- 따릉이 제외 62,000원, 따릉이 포함 65,000원입니다.
4) 카드종류
- 모바일카드와 실물카드가 있습니다. 모바일카드 신청은 아래에서 신청가능합니다.
5) 카드구매 및 충전
- 2024. 1.23(화)부터 가능합니다.
- 실물카드 판매처: 서울교통공사 1~8호선 고객안전실 (1호선은 서울역 ~ 청량리역), 9호선, 우이신설선, 신림선 역사 주변 편의점
- 편의점 판매처 목록 및 위치는 1월 말 서울시 홈페이지에 별도 게시 예정입니다.
6) 카드 사용방법
- 모바일(실물) 카드를 태그 하여 승, 하차하면 됩니다. 하차 미태그 2회 누적 시 직전 승차 시간 기준 24시간 사용정지됩니다.
- 티머니 go 앱을 통해 기후동행카드번호 등록 시 기후동행카드 사용기간 동안 따릉이 1시간 이용권이 제공됩니다.
2. 기후동행카드, K-패스 카드 비교
나에게 좀 더 맞는 카드를 선택해야 하는 시점입니다. 평소에 대중교통을 이용하는 횟수와 이동 경로, 버스, 지하철 환승여부 등 각자의 이용방식에 따라서 유리한 카드가 달라지는데요.
어떤 카드를 쓰느냐에 따라 교통비 차이가 커질 수 있으니 전체적으로 잘 따져봐야 할 것 같습니다. 아래는 기후동행카드와 케이패스 카드의 지원방식과 범위등을 비교한 내용입니다.
1) 기후동행카드 유리
기후동행카드가 유리하려면 당연히 서울에 거주하면서 주중뿐 아니라 주말에도 대중교통을 수시로 이용해야 합니다. 대중교통을 월 40회 이용하는 것을 전제로 기본 교통비를 책정했기 때문입니다. 41번째 탈 때부터 이익입니다.
그리고, 따릉이도 자주 이용하는 뚜벅이에게는 기후교통카드가 아주 좋습니다. 다만, K-패스 혜택이 아주 좋기 때문에 월 7만 8천 원 이상 사용했을 때 기후동행카드가 유리하니 잘 따져보세요. 물론 따릉이 혜택도 포함해야겠죠.
2) K-패스카드 유리
국토교통부의 K-패스는 월 15회 이상 이용 시 최대 60회까지 요금의 일부를 돌려줍니다. 환급률은 일반, 청년층, 저소득층에 따라 다른데요.
9만 원으로 월 60회를 이용했을 때 일반은 18,000원, 청년은 27,000원, 저소득층은 47,700원을 다음 달에 돌려받습니다. 서울, 경기도에 거주하면서 월평균 7만 원을 지출하는 청년은 월 21,000원을 돌려받을 수 있기 때문에 기후동행카드보다 유리하다고 볼 수 있습니다. 여기에 카드사 추가할인도 있습니다.
또한 케이패스는 거의 전국에서 사용가능하고, GTX A , 광역버스도 혜택을 받을 수 있어서 경기도를 포함한 지역 사용자들에게 유리합니다. K-패스 관련해서는 알뜰교통카드와 지난번 정리한 내용이 있으니 참고해 보세요.
지금까지 대중교통비를 절감해 줄 서울시 기후동행카드와 K-패스에 대해서 알아봤습니다.
'생활정보 > 생활' 카테고리의 다른 글
사진, 이미지 텍스트 변환으로 쉽게 글쓰는 방법 (0) | 2024.02.17 |
---|---|
다이소 리들샷 재고확인 방법 2가지 (0) | 2024.02.08 |
부모님이 좋아하는 설선물세트 추천 BEST 5 (0) | 2024.01.28 |
인천대교 통행료 인하 예정 5,500원 ▶ 2,000원 (0) | 2024.01.17 |
국민연금 예상수령액, 납부액 조회, 국민연금 수령액 늘리는 방법 (0) | 2024.01.16 |
댓글